여행비 지출의향 1년째 하락…'보복여행' 끝났다
여행비 지출의향 1년째 하락…'보복여행' 끝났다
  • 뉴시스
  • 승인 2024.05.28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추상철 기자 = 초여름 날씨를 보인 지난 23일 오후 서울 중구 청계천 모전교 아래에서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 등이 더위를 식히고 있다. 

박주연 기자 = 소비자들의 여행비 지출의향이 1년 이상 하락하면서 국내·해외 모두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내려섰다.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2015년부터 시행 중인 '주례 여행 행태 및 계획 조사'(매주 500명, 연간 2만6000명)를 분석, 28일 이같은 결과를 내놨다. 코로나 엔데믹으로 지난 2~3년간 폭발적으로 분출했던 여행 욕구가 한풀 꺾였다는 분석이다.

국내여행의 경우 여행비 지출의향이 2019년 35%에서 2020년 27%까지 떨어졌다가 반등해 2022년 47%로 고점을 찍었다. 하지만 올해(1~4월)는 다시 36%까지 하락했다. 월별 기준으로도 지속 하락해 지난 4월(35%)에는 연중 최저치에 머물렀다.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의 '주례 여행 행태 및 계획 조사'. 국내여행 여행비 지출의향 분석 결과.

해외여행비 지출의향은 2019년 39%에서 2020년 18%로 반토막나며 초토화 됐으며 이후 3년 연속 반등했다. 지난해에는 47%로 최고점을 찍었다. 코로나로 억눌렸던 여행심리가 터져나오며 '보복 여행'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졌다. 하지만 올해(1~4월) 다시 42%로 떨어졌다. 국내여행과 마찬가지로 월별로도 하락세가 이어지며 지난 4월에는 41% 수준을 나타냈다.

여행비 지출의향은 '앞으로 1년간 관광여행에 쓸 비용이 지난 1년에 비해 어떻게 될 것 같습니까?'라는 질문에 '더 쓸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을 뜻한다.

여행 계획 역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 1년간 국내여행 계획률(향후 3내월 내)은 최고 77%에서 최저 66% 사이에서 하락 추세를 유지했다. 최근 2개월 연속 반등하며 4월 70%까지 회복했음에도 지난해 같은 기간(74%)보다 낮은 수준이다. 최근의 반등도 가정의 달과 휴가철을 앞둔 계절적 요인에 따른 효과일 가능성이 높다.

해외여행 계획률(향후 6개월 내)은 지난 4월(46%) 반짝 상승해 작년 동기(45%)보다 높았다. 국내여행보다 하락세가 크지 않아 보이나 이는 코로나 시기의 기저효과 때문으로, 지난 11월(49%)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여행비 지출의향이 실제 여행 계획·경험에 선행함을 고려하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의 회귀는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실제 여행 경험자들의 지출 금액도 감소 추세다. 지난 4월 기준 1일당 평균 여행경비는 국내여행 7만8000원, 해외여행 25만7000원이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같은 달에 비해 국내는 8%, 해외는 15%를 더 썼다. 하지만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15%(통계청 국가통계포털)와 환율·항공료 급등을 감안하면 국내여행비는 오히려 감소했고 해외여행비는 그대로라는 분석이다.

컨슈머인사이트는 "국내여행은 코로나 이후 과열기에서 냉각기로 떨어지기 직전이고 해외여행은 회복도 되기 전에 된서리를 맞은 모습"이라며 "한때 우려됐던 해외여행 과소비는 기우가 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 해외 모두 여행 경기 전망 지표에 반등을 기대할 여지가 없다는 점은 심각하다"고 우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