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지혁 기자 = 정부가 중국산 철강 후판에 대해 최대 38%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예비 판정을 내리면서 철강업계와 조선업계의 희비가 갈렸다.
철강업계는 그동안 중국산 저가 공급으로 가격 경쟁력에 큰 피해를 입으며 수익성 악화에 시달렸지만 이번 결정으로 시장 정상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반해 조선업계는 호황기인 상황에서 찬물이라는 반응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중국산 후판에 대해 27.91%~38.02%의 예비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달라고 기획재정부에 건의하기로 결정했다. 최종 판정 전 국내 기업 피해를 막기 위한 임시 조치로, 기재부가 1개월 내 잠정 조치 부과 여부를 결정한다.
후판은 두께 6㎜ 이상의 철강 제품으로 조선, 건설, 해양 및 풍력 기기, 송유관 등 제조에 사용된다.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회사마다 차이는 있지만 전체 철강 제품 생산에서 후판이 차지하는 비중은 10~15% 수준이다.
그동안 저가 중국산 후판의 공습과 수요 부진이 겹치면서 국내 철강업계는 극심한 경영 악화에 시달렸다. 중국산 후판 수입량은 2021년 33만7867톤에서 2023년 125만8324톤으로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조선업계는 숨통이 트였다는 분위기다. 향후 가격 협상을 하는데 있어서 중국산 대비 밀렸던 가격 경쟁력을 되찾을 수 있고, 시장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가격이면 중국산보다 국내 후판을 원하는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는 실제 유통 가격의 변화, 중국산 제품 가격 변동 폭 등을 분석해 대응할 계획이다.
철강사 관계자는 "중국산 후판 공급과잉으로 국내 시장에 저가재가 범람하면서 후판 가격을 같이 떨어뜨려 국내 업계도 치킨게임을 벌이며 수익이 악화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며 "이번 조치로 시장을 지키고 수익성을 개선할 여지가 생겼다"며 환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고객사에 소재를 공급해 시장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기재부의 본 조사와 최종 판정 등이 남은 만큼, 정부 조사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중국산 후반 사용량이 전체의 20% 수준에 달하는 국내 주요 조선업체들은 가격 인상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보세창고를 통해 관세 없이 후판을 수입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결국 전체 유통 가격의 거품이 빠지면 가격 협상에서 불리하게 흐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호황을 맞고 있는 조선사들에 건조 비용 상승은 찬물이라는 반응이다.
조선업 원가 비중에서 재료비가 50% 이상을 차지하는데 후판의 경우, 가격이 10%만 상승해도 선가는 72~108억원 상승한다.
업계는 10여년의 장기 불황을 극복해 슈퍼사이클에 돌입했고,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미국 MRO 시장 진출, 친환경 선박 발주 기대 등으로 순풍을 탔지만 이번 후판 관세 조치가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오랜 불황의 터널을 지나 이제 막 기지개를 펴려던 조선업계에 찬물을 끼얹는 것과 같다"며 "이번 조치는 궁극적으로 국내 조선사의 경쟁력 저하를 가져와 선박 수주 물량이 감소, 오히려 후판 사용이 줄어드는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이 흔들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상생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