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경기, 대출높여 소비 위축
남주현 기자 = 주택경기 개선에 따른 가계대출 급등이 소비 회복을 제약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통상 주택 가격 상승은 소비 증가 요인이지만 최근 주택대출을 동반함에 따라 대출 상환 부담에 효과가 상쇄될 것이라는 점에서다.
한국은행은 28일 '민간소비 회복 모멘텀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소비는 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이후 회복 흐름을 보였지만, 올해 2분기 들어 전기 대비 0.1% 감소하고, 7월에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형태별로 2분기와 7월 중 재화소비는 의복과 신발 등 준내구재 지출이 큰 폭으로 줄었지만, 승용차와 음식료품 등 내구재와 비내구재는 증가했다. 서비스 소비는 음식·숙박, 육상 여객이 감소 전환했고, 보건복지 등은 늘었다.
한은은 2분기와 7월 중 소비 부진은 펜트업(보복소비) 둔화와 날씨 등 일시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봤다. 5월 이후 평년을 상회하는 강우로 의복과 음식·숙박, 레저, 여행 등과 관련된 품목을 중심으로 재화·서비스 소비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향후 민간소비가 날씨 등 일시적인 요인이 사라지며 회복 흐름을 재개할 것으로 봤다. 다만, 변수는 소비여력과 소비성향, 주택가격 등에 회복 정도다.
우선 양호한 고용 상황과 물가 상승세 둔화에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점차 개선되는 가운데 그동안 축적된 가계 초과저축이 소비 여력을 뒷받침할 것으로 봤다.
문제는 고금리로 인해 높아진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부담이 소비여력을 제약한다는 점이다. 기존 대출까지 고려한 잔액기준 금리의 경우 아직 고점 수준에 머물러 있어 가계의 높은 이자비용 부담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서다.
대외 여건 불확실성도 가계 소비를 제약하는 요소로 지목했다. 최근 소비심리 개선은 소비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고금리 지속과 급속한 고령화 등도 가계 저축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거론된다.
주택 경기 개선도 소비 회복을 제약한다. 주택가격 반등이 가계 대출을 동반함에 따라 가계 원리금 상환 부담이 가중되기 때문이다. 주택 구매 대기자의 경우 자금 저축을 위해 소비를 축소할 가능성도 있다.
한은은 "민간소비는 양호한 고용 여건과 축적된 초과저축 등으로 소비여력이 뒷받침되고 있어 회복 흐름을 지속할 것"이라면서도 "가계부채 수준이 높은 가운데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고 있는데 다, 대외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아 회복 모멘텀은 완만할 것"이라고 말했다.